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운영에서 리스너 로그 파일은 네트워크 연결 및 데이터베이스 활동을 기록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 로그 파일은 문제 해결, 성능 분석, 보안 감사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,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시스템 성능 저하 및 보안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리스너 로그 파일의 중요성문제 해결: 리스너 로그 파일은 데이터베이스 연결 실패, 네트워크 문제 등 다양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성능 분석: 로그 파일 분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연결 패턴, 트래픽 추이 등을 파악하여 성능 개선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보안 감사: 비정상적인 연결 시도, 권한 없는 접근 등 보안 관련 이벤트를 기록하여 보안 감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리스너 로그 파일 관리 방법로..
오라클에서 "ORA-12541: TNS: no listener" 오류는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을 시도했지만, 서버에서 리스너를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합니다. 이는 주로 리스너가 실행되지 않거나, 리스너 설정이 잘못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. 이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아래와 같습니다. [oracle@ora19c ~]$ oerr ora 1254112541, 00000, "TNS:no listener"// *Cause: The connection request could not be completed because the listener// is not running.// *Action: Ensure that the supplied destination address matches ..
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설정을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CONNECT_TIMEOUT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 변수는 오라클 네트워크 설정 파일인 sqlnet.ora에서 정의되며,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연결을 시도할 때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, 얼마나 기다릴지에 대한 시간 초과 설정을 담당합니다.CONNECT_TIMEOUT 값을 0으로 설정하는 경우, 특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CONNECT_TIMEOUT을 0으로 설정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과 그로 인한 문제들을 살펴보겠습니다. 1. CONNECT_TIMEOUT 변수란?**CONNECT_TIMEOUT**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 시도에서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,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타임아웃 오류를 발..
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서 TNS-12535: TNS:operation timed out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. 이 오류는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데,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시간 초과를 의미합니다. 이 오류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,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존재합니다. 이 글에서는 TNS-12535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. 1. TNS-12535 오류란 무엇인가?TNS-12535: TNS:operation timed out 오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때, 네트워크 시간 초과로 인해 연결이 실패하는 문제입니다. 이 오류는 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하거나,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에 응..
1. 오라클 리스너 로그 크기 조절이 필요한 이유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리스너(`listener.log`)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. 로그 크기를 조절하지 않으면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고,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 2. 리스너 로그 크기 제한 설정2.1 `log_file_size_listener` 설정리스너 로그가 일정 크기 이상 증가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.설정 방법:`listener.ora` 파일을 열어 아래 설정을 추가합니다.LOGGING_LISTENER=ONLOG_FILE_SIZE_LISTENER=10485760 # 10MB설정 적용: 변경 후 리스너를 재시작해야 합니다.lsnrctl stoplsnrctl start 3. 자동 로그 순환(Log Rotati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